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조직위원회
Rare Genetic Disease Symposium Organizing Committee
제6회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
2025. 9. 22. (월) ~ 9. 23. (화)
부산 BEXCO 컨벤션홀 107~110호


/ Welcome MESSAGE
안녕하십니까.
제6회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이 오는 2025년 9월 22일(월)부터 23일(화)까지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Thinking, Moving, Sensing Freely!”라는 주제 아래, 치료제가 없어 오랜 시간 고통 속에 살아가는 신경병증 환자들이 자유롭게 생각하고, 움직이고, 느낄 수 있는 세상을 향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합니다.
이번 행사는 희귀 신경질환 분야를 중심으로, 최신 연구 성과와 치료제 개발 현황, 규제 전략, 글로벌 시장 동향은 물론 관련 환자 단체와의 협력 사례까지 폭넓게 조명할 예정입니다.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은 2017년 처음 시작된 이후, 질환의 발병 기전 연구와 치료 후보물질 발굴, 연구자 간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희귀질환 극복을 위한 학술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제6회를 맞는 올해 심포지엄 또한 국내외 희귀질환 연구자와 전문가, 바이오 기업, 규제 기관 관계자들이 함께 모여, 치료제의 상용화와 실질적인 환자 혜택 확대를 위한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희귀유전질환에 관심 있는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조직위원회
Development New Drug for Rare Genetic Diseases

/ PROGRAM
09. 22. (월)
사회 황재연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13:00 - 13:30
Opening Ceremony
축사
축사
강봉균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회장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
SPECIAL SESSION
13:30 - 13:50
How to collaborate with Korean R&D Community
박영민 I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
SESSION1
Basic research for neuromuscular diseases
좌장 : 박종훈 숙명여자대학교 생명시스템학부 교수
Functional genomics approach to understand rare neurological diseases
최무림 I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Disruption of nuclear-cytoskeletal linkage by lamin A mutations in severe 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강소미 I 부산대학교 생명시스템연구소 박사
Brain organoid-based virtual cell modeling predicts novel autism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genes
안준용 I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
Distinct Signaling Pathways Underlie Tissue-Specific Phenotypes in Carpenter Syndrome Models
고혁완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SESSION2
Clinical approval
좌장 : 한진 인제대학교 교수
Therapeutic development of GNE myopathy
신진홍 I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TBD
한용만 |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Current status of therapeutic development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오기욱 I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SESSION3
Regulatory affairs
좌장 : 송재환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TBD
TBD
Regulatory support for Orphan and essential drug
of Korea Orphan and essential drug center (KOEDC)
김영림 I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원장
Regulatory Process and Requirements for Biological Products
권오석 I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재조합의약품과 보건연구관
17:40
Reception & Dinner
장소 : 그랜드애플
(부산 해운대구 센텀1로 25 5,6층)
09. 23. (화)
Company & Foundation
SESSION4
좌장 : 이경하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Funding Strategy : from Lab to Market
우정규 I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이사
Inhibition of SOD1 trimerization is a novel drug target for ALS disease
우태균 I (주)PRG S&Tech 연구팀장
TBD
중국 ALS 재단
Early Phase Regulatory Affairs for Rare Disease Drug Development
이형주 | KCRN Research 대표이사
11:30 - 11:50
Closing Ceremony
폐회사 : 박범준 부산대학교 교수 / (주)PRG S&Tech 대표이사
/ SPEAKERs
좌장 SESSION 1
좌장 SESSION 2
좌장 SESSION 3
좌장 SESSION 4
박종훈 ㅣ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한 진 ㅣ 인제대학교 교수
송재환 I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이경하 I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 OUR LOCATIONS
제 6회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
장소 : 부산 BEXCO 컨벤션홀 107~110호
문의 : bexco.co.kr
051-740-7300